첫번째로 확인할 부분은 pdf 관련 프로그램이 깔려 있는지를 알아보아야 합니다. 가장 유명한 프로그램으로는 아크로벳 리더인데, 어도비 사이트에서 쉽게 다운로드해서 설치할 수 있습니다. 이 외에 pdf익스체인지, 독허브 등이 있는데, 편집이 아닌 보는 것만으로 충분하다 생각하면 pdf뷰어를 다운받아서 설치하는게 더 빠릅니다. Autocad로 편집이나 보기 위해서 파일을 다운받아 클릭하면, 오류보고서 경고창을 나타내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pdf파일이 깨진것은 아닌지 확인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캐드와 겹치는 pdf프로그램이 있는지를 확인해 보세요. 예를 들어 Acrobat Reader같은 프로그램을 깔아둔것은 아닌지 확인하면 됩니다. 만일 pdf 관련 프로그램이 한개가 아닌 다수의 경우에는 우선순위..
취미도 가지고 있고, 반려동물과도 함께 있지만 무료한 삶이 이어진다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여기저기 전화를 하기 시작합니다. 최근들어 연락이 뜸하던 친구들부터 시작해서, 친했던 주위의 사람들에게 안부인사겸 심심한 것을 조금이라도 달래려 할텐데요. 우선시 해야 할것은 약속을 잡고 경험해 보지 못한 것을 해보는것이 좋습니다. 약속할 사람이 없다면 혼자서 산책을 하거나 가볍게 걷는 것도 좋고요. 인터넷을 보면서 행사나 사람들이 많은 장소를 알아보고 정보를 찾다보면 시간이 빠르게 흐르기도 합니다. 이미 활동을 시작하려고 하면, 시간이 부족하게 느껴질테니까요. 하지만 이보다 건강하게 보내는 방법도 있습니다. 미루었던 대청소를 해보는 것도 운동이 되거든요. 미루었던 공부를 시작해 보는것도 정신건강에 좋을 수 있고요. ..
Nvidia Experience는 서비스 항목에서 사용중지로 변경해야만 윈도우를 시작할 때 자동으로 실행되지 않습니다. 우선은 서비스항목을 열어야 하는데, 작업표시줄이나 윈도우 로고에서 services.msc 라고 입력합니다. 윈도우 검색란의 위치가 어디인지 헷갈린다면 실행창을 열어서 검색란에 services.msc 명령어를 넣어도 됩니다. 제어판의 서비스항목으로 직접 찾아서 들어가도 되고요. 서비스 항목으로 들어갔다면 NVIDIA Display Container LS 라는 이름명과 NVIDIA LocalSystem Container 라는 이름명을 찾아서 사용안함으로 변경해 주면 됩니다. 만일 위에서 언급한 NVIDIA Display Container LS 라는 이름명과 NVIDIA LocalSystem..
편집된 영상들을 보다보면, 화면을 지루하지 않게 만들어주기 위해서 영상 중간중간에 자막이나 여러가지 이벤트 형식을 보여주는데, 좀 더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소리를 넣어주는 영상들을 많이 봤을 겁니다. 이런 소리들을 넣어줌으로써 흥미를 유발하고 계속해서 눈을 떼지 못하게 만들어주는 효과를 보여주는데, 과연 이 소리와 관련된 효과음들은 어디서 구하면 될까요? 가장 쉽게 찾을 수 있는 방법이 유튜브 입니다. 유튜브 검색란에 자막효과음, 화면전환 효과음, 소리 효과음, 영상 효과음 등의 여러가지 검색어를 넣어서 필요한 효과음을 찾아서 넣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맘에 드는게 없을 수 있고, 필요한 효과음을 골라내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이런 부분 때문에 효과음과 관련된 사이트들을 소개해 볼까 합니다. 되..
인터넷을 하기 위해서는 웹 브라우저를 반드시 열고 검색을 시작하는게 당연한 순서가 될겁니다. 쉽게 페이지가 열리게 하는 수단이기도 하지만, 검색란에 글자를 넣기 전에 동일한 단어나 문장이 있다면 클릭해서 들어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함도 있습니다. 이로 인해서 편리함도 있지만 불편한 사람들도 있으니까, 검색 저장 기능을 차단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아이폰이 없어서 안드로이드폰을 기준으로 하는데, 아이폰의 기본적인 설정을 알고 있다면 참고 삼아서 봐도 도움이 될겁니다. 자신의 모바일 웹 브라우저를 사용할 때 많이 쓰는 것은 크롬과 파이어폭스, 오페라, 익스플로러 등이 있을텐데, 깔려있는 브라우저는 전부 하는게 좋습니다. 어플로 다운 받거나 기본으로 깔려있는 웹브라우저의 기록을 전부 삭제해야만..
음악파일이라면, 바로 렌더링을 시작하면 되지만, 영상파일이라면 음악파일로 변환해야 합니다. 이렇게 해야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 곰오디오 등에서 소리만 듣는 기능이 가능하니까요. 분리하는 방법은, 베가스에서 mp3파일 혹은 wma파일의 음악파일 형식으로 랜더링만 하면 됩니다. 랜더링 하고 나면 음악파일 형식으로 새롭게 만들어진게 보일겁니다. 위의 이미지는 MP3파일로 렌더링하는 방법입니다. 포멧형식만 MP3 Audio를 선택해서 렌더링만 하면 쉽게 완성됩니다. 초보자의 경우에는 렌더링 시작하기 전에 반드시 렌더링 하게 될 지점을 설정한 후 시작하세요. 만일 WMA 파일 형식으로 만들고자 생각한다면 아래 이미지와 같이 Windows Media Audio를 선택한 후에 렌더링 하면 됩니다. MP3 파일이나 ..
지포스의 익스피리언스 녹화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녹화를 하다보면 마우스 포인트를 사라지게 하거나 표시해서 녹화해야 하는 경우가 생깁니다. 이런 경우에 쉽게 변경 가능한 방법이 있을까 싶어서 검색해 봤더니, 엔비디아 공식 사이트에서 제공된 레지스트리 변경 방법이 있어서 알려드립니다. 아래에 있는 레지스트리 파일은 지포스 익스피리언스 공식 사이트에 있던 것을 다운 받을때 이름만 변경해서 가져온 겁니다. 첫번째 gfe_mouse_hide 이라는 파일은 마우스를 숨길때 사용하는 레지스트리 파일이며 두번째 gfe_mouse_show 파일은 마우스가 표시되게 변경되는 레지스트리 파일입니다. 중요한 것은 위의 이미지 글대로 레지스트리 변경 후에 반드시 재부팅해야 제대로 적용됩니다. 원래 엔비디아 지원에 나타난 글은 영..
윈도우10을 설치하고 난 후 내장형 그래픽카드는 보이는데 외장 그래픽카드가 보이지 않거나 드라이버가 설치 되지 않을때 살펴볼만한 주의사항을 모아 보았습니다. 그래픽카드와 관련된 설치 사항은 장치관리자 혹은 Directx 진단도구를 통해서 확인이 가능한데요. 먼저 장치관리자로 확인하는 방법부터 알려주겠습니다. 제어판으로 이동해서 시스템 항목을 클릭하면 이렇게 나올겁니다. 아래이미지에서 장치관리자를 클릭하기 전에 OS종류(32비트와 64비트중에 하나가 설치되어 있습니다)가 무엇인지 확인한 후 장치관리자 항목을 찾아 주세요. 장치관리자가 보인다면, 클릭해서 하드웨어와 관련된 부분 중, 디스플레이 어댑터를 클릭해 주면 됩니다. 디스플레이 어댑터에 자신의 데스크탑 혹은 노트북에 설치되어 있는 그래픽카드가 보인다면..
하드 용량이 충분한지 우선 확인해 봐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2gb정도를 차지하는데, 이하 용량이라면 충분히 용량 확보한 이후에 설치해야 합니다. 충분한 용량이 있는데도 설치가 되지 않는다면, 설치 파일을 공식 사이트에서 다운로드 했는지 알아보아야 합니다. 설치 파일 자체의 문제일수도 있거든요. 공식 사이트에서 다운받아 설치해 보세요. 설치하기 전에 반드시 시스템 요구사항을 읽어 보고 자신의 하드웨어가 요구사항에 부합되는지 확인해 보세요. 만일, 오랜기간 윈도우 보안 업데이트를 하지 않았다면 설치가 않될 수 있다고 합니다. 보안 업데이트도 반드시 해놓아야 합니다. 보안 업데이트 이후에도 설치가 되지 않는다면 마이크로스프트의 fix를 이용해서 레지스크리 키 복구를 해보세요. 손상된 레지스트리를 복구한 것만으..
베가스 단축키가 생각보다 많아서 카테고리별로 나누어서 적어보겠습니다. 우선은 프로젝트 파일을 만드는 단축키와 기본적으로 사용할만한 단축키를 나열해 보겠습니다 1. 프로젝트 파일 만드는 단축키 Ctrl+N - 프로젝트 새로만들기 Ctrl+Shift+N - 새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프로젝트의 대화상자 속성을 유지합니다 Alt+F4 - 베가스 프로그램을 종료합니다 Ctrl+F4 - 현재 작업중인 프로젝트를 닫습니다 Ctrl+O - 기존에 작업하던 프로젝트를 열려고 할때 사용 Alt+Enter - 프로젝트 속성 열기 Ctrl+S - 현재 작업중인 프로젝트를 저장합니다 2. 마우스 휠을 이용한 단축키 Wheel - 트랙위의 영상과 타임라인의 확대 축소는 휠로 하면 됩니다 Ctrl+wheel - 수직스크롤 단축키 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