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가스16 기준 파일(F) 메뉴 한글 영어 단축키와 기능
영어로 먼저 적어 놓고 한글로 적어 놓았습니다. 영어 ,(콤마)표시 한 후 한글로 적었으며 한글 패치 후에도 영문으로 보이는 것은 그대로 적어 놓았네요.
제 데스크탑의 패치 오류인지, 한글로 전환되지 않는 것도 있더라고요. 혹시나 한글명으로 메뉴를 알고 있는 분들은 댓글로 남겨 주세요.
한글에서는 가로안에 단축키가 써 있고 영문에서는 밑줄로 나타납니다. 그런데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 혹은 정확하게 어떤 방식으로 해야 하는지 모르는 사람들이 있더라고요.
간단합니다. 컨트롤이나 알트로 표시 되어 있는 것은 그대로 컨트롤 누르고 뒤 영문을 동시에 누르면 되고요. (보통 컨트롤이나 알트를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뒤 영문을 누릅니다)
밑줄 쳐진 단축키나 가로안에 들어간 단축키는 마우스가 있는 동일한 설정에서 눌러야 합니다.예를 들면, 파일(File) 메뉴 누르고 난 후 New를 클릭하지 않고 키보드의 N단축키를 누르면 New(새로만들기) 기능이 활성화 되면서 실행됩니다.
여기까지는 대부분 알겁니다. 그런데 메뉴를 살펴보다 보면 단축키가 동일한 것이 있어요. 동일한 단축키인데 위와 같은 방식으로 하게 되면 맨 위쪽의 단축키만 눌리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겁니다.
사실, 정확하게 마우스와 키보드 단축키를 동시에 이용하기 위한 수단인데요. 다른 이름으로 저장하는 단축키A를 사용하지 않고, 가져오기 메뉴 속 AAF 단축키를 누르고 싶다면 Import(가져오기(I)) 부분에 마우스를 올려 놓은 채 키보드 A를 누르면 된답니다.
저 같은 경우도 키보드의 단축키와 마우스를 동시에 사용하면서 단축키를 사용중인데요. 양손잡이분들은 저처럼 하는게 더 빠를 거라 생각합니다.
실제로 몇초 차이도 않나지만, 스타일대로 하는 것이니 양손으로 하는 방법은 굳이 외워두지 않아도 될 듯 싶어요. 하지만 오래 걸리는 작업일수록 몇초에서 몇분, 몇십분까지 차이가 벌어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작업 속도에 약간의 영향은 미칠 수 있지만 크게 와닿지는 않는 부분이라 다들 무시하면서 자신의 스타일대로 사용할텐데요. 신경을 쓰지 않는 사람이라면 전혀 신경쓰지 않고 지금 하던대로 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New, 새로만들기(N) - Ctrl+N - 작업을 새로이 할 때 사용하는 기능
Open, 열기(O) - Ctrl+O - 작업된 내용이나 필요한 파일을 열어서 프로그램에 넣을 때 사용하는 옵션
Close, 닫기(C) - Ctrl+F4 - 현재 작업하는 도중이나 작업 완료된 것을 닫는 기능
Save, 저장(S) - Ctrl+S - 파일로 저장할 때 사용하는 기능 백업을 자주 하는 사람이라면 단축키를 외워 두세요.
Save As, 다른 이름으로 저장(A) - 파일을 저장할 때 기존과 다른 이름으로 저장할 때 사용하는 옵션
여기까지는 대부분 알겁니다.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새로 만드는 방법이나 만들어 놓은 작업파일을 열때 사용하는 기능, 닫는 기능, 작업한 것을 저장하는 기능이나 저장된 이름을 다르게 하고 싶을 때 기능 등, 윈도우를 이용하는 대부분의 프로그램에는 있는 기능이며 많이 본 기능일겁니다.
Render As, 다음으로 렌더링(R) - 작업한 것을 보기 위한 파일로 전환하는 옵션입니다. 동영상이나 음악으로 전환할 때 사용합니다.
Real-Time Render, 실시간 WAV 렌더링(M) - 말 그대로 실시간으로 렌더링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옵션 저 같은 경우에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 기능입니다.
Import, 가져오기(I) - 가져오기 기능입니다만 거의 사용하지 않는 기능입니다. 복잡한 폴더안에 있다면 사용할 수 있지만 보통은 폴더에서 드래그 해서 가져오면 바로 가져 올 수 있기에 사용을 하지 않게 되네요.
아래는 Import(가져오기) 메뉴 속 옵션들입니다.
폴더의 관련 속성파일을 가져올때 사용하는데, 파일의 확장자명을 정확하게 알 수 없다면 사용할 수 없습니다. 확장자명대로 가져올 수 있으며 가져오는 것보다는 드래그로 직접 끌어다 놓는 것을 배우는게 더 나을 겁니다.
Media, 미디어(M)
Media from Project, 프로젝트의 미디어(P)
AAF(A)
Premiere/After Effects(*.prproj)(R)
Final Cut Pro Export
7/DaVinci Resolve(*.xml)(F)
Final cut Pro X(*.fcpxml(X)
EDL Text File (*.txt), EDL 텍스트 파일(*.txt)(E)
Broadcast Wave Format, 브로드캐스트 웹이브 형식(B)
DVD Camcorder Disc(D)
Closed Captioning, 자막 넣기(C)
Export, 내보내기(X) - 출력하는 기능입니다. 내보내기 기능이라고 말하기도 하고요. Import(가져오기) 기능의 정반대 기능으로 파일로 저장하거나 내보낼 때 사용하는 옵션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초보들의 입장에서는 사용할 일이 없는 옵션인데요. 음악파일로 저장한다거나 베가스에서 필요한 파일을 생성해서 재 작업을 할 때 사용할 수는 있습니다.
아래 메뉴들이 EXport(내보내기)에 들어간 옵션들이며 마우스로 가르키면 나타나는 옵션입니다.
VEGAS Project Archive(*.veg), VEGAS 프로젝트 아카이브(*.veg)(V)
Pro Tools AAF 파일(*.aaf)(M)
Media Composer AAF File(*.aaf)
Premiere/After Effects(*.prproj)
Final Cut Pro 7/Davinci Resolve (*.xml)
Final Cut Pro X(*.fcpxml)(X)
EDL Text File (*.txt), EDL 텍스트 파일(*.txt)(E)
XDCAM Disc, XDCAM 디스크(D)
Capture Video, 비디오 캡처(V) - 고화질의 영상을 캡처할 때 사용하는 기능입니다. 오캠이라는 캡처 프로그램을 알고 있는지 모르겠지만 비슷한 형식의 캡처 방식이라 생각하면 됩니다.
클릭하게 되면 별도의 캡처 창이 나타나게 되는데요. 제가 오캠을 자주 사용해서인지 오캠보다는 복잡한 느낌이 듭니다. 사용법을 적어 드리려다가 잘 설명한 글이 있어서 링크로 대신하겠습니다. (https://leechee.tistory.com/809) 저 같은 경우는 이 기능을 안쓰거든요. 개인적으로는 오캠이 더 낫다는 생각이 듭니다.
Extract Audio from CD, CD에서 오디오 추출(E) - 오디오 부분만 추출 할 때 사용하는 기능입니다.
Share Online, 온라인 공유(H) - SNS 상에 공유할 때 사용하는 기능이라고 합니다. SNS상에서 대표적인 3가지만 업로드할 수 있게 해놓았네요.
아래 옵션들로 하나씩 눌러보면 알겁니다. 단순하게 제목 넣고 내용 넣고 렌더링 속도를 지정하는 옵션이 있으며 Upload를 클릭하면 렌더링이 시작됩니다.
Facebook에 업로드(F)
Vimeo에 업로드(V)
YouTube에 업로드(Y)
Prepare for VEGAS Pro Connect, VEGAS Pro Connect 준비(N)
Manage VEGAS Pro Connect Clips, VEGAS Pro Connect 클립 관리(C)
베가스프로와 연결시켜주는 기능인 것 같네요. 클릭해 보니 마찬가지로 렌더링을 시작합니다. 렌더링 이후에 온라인 공유 기능과 비슷하게 베가스 프로와 연동되는 것이 아닐까 합니다.
시간이 좀더 여유롭게 있었다면 이 기능들에 대해서도 확인해보고 적어 놓았을 것 같은데 시간이 없어서 다음에 알게 되면 추가하는 방식으로 적어 놓아야 할 것 같네요.
Properties, 속성(P) Alt+Enter - 이 옵션은 속성 옵션입니다. 전체적인 베가스의 작업 속성을 설정할 때 사용하는 기능으로 따로 나중에 자세하게 옵션에 대한 설명을 하게 될때 적어 놓겠습니다.
Exit, 종료(X) Alt+F4 - 말그대로 종료 기능입니다. 강제종료 기능으로 많이 써본 단축키가 보일겁니다.
'베가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베가스 한글 패치 - 보기(View)편 (0) | 2019.07.26 |
---|---|
베가스 한글 영어 단축키 기능 - 편집(Edit)메뉴 편 (0) | 2019.07.23 |
베가스 한글 영어 패치 번역판 Video FX(비디오 효과)두번째 (0) | 2019.07.20 |
베가스 Video FX(비디오 효과) 한글 영문 변환된 메뉴얼 번역 (0) | 2019.07.18 |
베가스 Transitions(변환효과) 메뉴얼 한글 영문 번역판 (1) | 2019.07.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