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가스 프로그램으로 편집 작업을 하다보면 갑자기 사용하던 파일에 이벤트 FX 혹은 이벤트 팬크롭 등이 나타나지 않아서 아무것도 못할 때가 있습니다. 혹은 빈 파일을 넣어서 글자를 적으려고 하는데 글자를 넣을 수 있는 버튼이 사라져서 난감할 때가 있기도 합니다. 이 글을 읽으면서 내가 생각한 오류가 맞는지 모르는 분들을 위해서 그림으로 설명해 보겠습니다. 위의 그림에서는 보이는 상태이지만 네모칸의 모양들이 전부 사라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미디어 제너레이터, 이벤트 팬/크롭, 이벤트FX, More 와 관련된 버튼을 사용해야 하는데 보이지 않아서 곤란한 상황이 되어버렸다면 옵션 설정에서 잘못 누르거나 단축키를 잘못 눌러서 사라진 상태입니다. 두번 째 그림처럼 효과나 글씨 등을 적어야 할 때 버튼이 사라져서 아..
베가스는 소니에서 만들어 sony creative software로 되어 있습니다. 레지스트리로 접속하는 방법은 윈10의 경우 작업표줄에 있는 검색란을 통해서 접속이 가능하며 윈10 이하의 경우 실행창을 통해서 레지스트리 편집기로 접속이 가능합니다. 아래 이미지를 보면 윈도우10에서 접속이 가능한 검색란과 윈10이하(비스타,윈7 등등)에서 접속할 수 있는 실행창을 보여주는데, 그 안쪽에 마우스 클릭한번 하고 regedit 라고 입력하면 됩니다. 입력한 후 엔터를 누르면 레지스트리 편집기가 나타날겁니다. 아래와 같은 이미지와는 조금 다른 모양일 수 있는데 화면 왼쪽 창끝에 있는 레지스트리 편집기 라는 명칭이 보인다면 제대로 찾은겁니다. 이제 알려주는 위치로 이동만 하면 베가스 버전과 상관없이 베가스가 설치..
편집된 영상들을 보다보면, 화면을 지루하지 않게 만들어주기 위해서 영상 중간중간에 자막이나 여러가지 이벤트 형식을 보여주는데, 좀 더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소리를 넣어주는 영상들을 많이 봤을 겁니다. 이런 소리들을 넣어줌으로써 흥미를 유발하고 계속해서 눈을 떼지 못하게 만들어주는 효과를 보여주는데, 과연 이 소리와 관련된 효과음들은 어디서 구하면 될까요? 가장 쉽게 찾을 수 있는 방법이 유튜브 입니다. 유튜브 검색란에 자막효과음, 화면전환 효과음, 소리 효과음, 영상 효과음 등의 여러가지 검색어를 넣어서 필요한 효과음을 찾아서 넣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맘에 드는게 없을 수 있고, 필요한 효과음을 골라내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이런 부분 때문에 효과음과 관련된 사이트들을 소개해 볼까 합니다. 되..
음악파일이라면, 바로 렌더링을 시작하면 되지만, 영상파일이라면 음악파일로 변환해야 합니다. 이렇게 해야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 곰오디오 등에서 소리만 듣는 기능이 가능하니까요. 분리하는 방법은, 베가스에서 mp3파일 혹은 wma파일의 음악파일 형식으로 랜더링만 하면 됩니다. 랜더링 하고 나면 음악파일 형식으로 새롭게 만들어진게 보일겁니다. 위의 이미지는 MP3파일로 렌더링하는 방법입니다. 포멧형식만 MP3 Audio를 선택해서 렌더링만 하면 쉽게 완성됩니다. 초보자의 경우에는 렌더링 시작하기 전에 반드시 렌더링 하게 될 지점을 설정한 후 시작하세요. 만일 WMA 파일 형식으로 만들고자 생각한다면 아래 이미지와 같이 Windows Media Audio를 선택한 후에 렌더링 하면 됩니다. MP3 파일이나 ..
하드 용량이 충분한지 우선 확인해 봐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2gb정도를 차지하는데, 이하 용량이라면 충분히 용량 확보한 이후에 설치해야 합니다. 충분한 용량이 있는데도 설치가 되지 않는다면, 설치 파일을 공식 사이트에서 다운로드 했는지 알아보아야 합니다. 설치 파일 자체의 문제일수도 있거든요. 공식 사이트에서 다운받아 설치해 보세요. 설치하기 전에 반드시 시스템 요구사항을 읽어 보고 자신의 하드웨어가 요구사항에 부합되는지 확인해 보세요. 만일, 오랜기간 윈도우 보안 업데이트를 하지 않았다면 설치가 않될 수 있다고 합니다. 보안 업데이트도 반드시 해놓아야 합니다. 보안 업데이트 이후에도 설치가 되지 않는다면 마이크로스프트의 fix를 이용해서 레지스크리 키 복구를 해보세요. 손상된 레지스트리를 복구한 것만으..
베가스 단축키가 생각보다 많아서 카테고리별로 나누어서 적어보겠습니다. 우선은 프로젝트 파일을 만드는 단축키와 기본적으로 사용할만한 단축키를 나열해 보겠습니다 1. 프로젝트 파일 만드는 단축키 Ctrl+N - 프로젝트 새로만들기 Ctrl+Shift+N - 새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프로젝트의 대화상자 속성을 유지합니다 Alt+F4 - 베가스 프로그램을 종료합니다 Ctrl+F4 - 현재 작업중인 프로젝트를 닫습니다 Ctrl+O - 기존에 작업하던 프로젝트를 열려고 할때 사용 Alt+Enter - 프로젝트 속성 열기 Ctrl+S - 현재 작업중인 프로젝트를 저장합니다 2. 마우스 휠을 이용한 단축키 Wheel - 트랙위의 영상과 타임라인의 확대 축소는 휠로 하면 됩니다 Ctrl+wheel - 수직스크롤 단축키 S..
베가스는 오류가 일어나는 시기가 존재합니다. 언제 어떻게 일어날지 알 수 없기 때문에 컨트롤+S를 습관화 해야 합니다. 저장하는 단축키인데, 되도록 저장 위치는 용량에 여유가 있는 드라이브를 이용해서 사용하는게 좋습니다. 저장 용량에 여유가 없으면 베가스 오류로 인해서 멈춤현상이 일어날 수 있고, 동작이 느려지게 됩니다. 또한 용량이 적을 때 실수로 하는 경우가 파일삭제인데요. 이 때, 베가스내에서 사용하던 관련 파일이 삭제가 되면 작업하던 것을 잃어 버리고 처음부터 다시 만들어야 하는 상황이 올수도 있습니다. 저장하는 단축키 외에도 S를 자주 사용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S는 영상을 자르는 단축키 입니다. s를 눌렀을 때 반응하지 않으면, 키보드의 한/영 버튼을 눌러 주세요. 대부분의 프로그램에서 ..
베가스 영상을 만들면서 가장 쉽게 실수 하는 몇가지가 있는데요. 바로 영상의 크기입니다. 다운 받은 영상이나 녹화한 영상의 크기는 반드시 확인해 볼 것을 추천하고 싶어요. 확인방법은 알겠지만 다시알려 줄께요. 베가스에 영상을 불러오고 나면, 파일메뉴의 Properties 클릭해서 Template 부분을 꼭 확인해 주세요. 자신이 원하는 화면이 아니라면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렌더링이 안되거나 렌더링이 금방 끝난다면 타임라인 영역이 제대로 지정되어 있는지 확인하는게 중요합니다. 타임라인의 영역 지정은 간단한데요. 노란색으로 이루어진 삼각형을 잡아다가 처음과 끝 부분에 놓으면 됩니다. 만일 영상이 끊어진 곳이 없고 하나의 영상으로 이루어져 있다면 영상을 더블클릭하는 것만으로도 영역이 자동으로 지정됩니다. ..
베가스를 사용하다 실수로 video preview를 끄는 경우가 발생하는데요. 간단하게 복귀가 가능합니다. 제 블로그 view 메뉴 글 보면 나오는데요. 이 외에도 미리보기 화면을 자유자재로 다룰 수 있는 방법까지 설명해 보도록 할께요. 미리보기 기능을 보면, 네모칸과 X로 표시된 구역이 보일겁니다. 저 곳을 이용해서 여러가지 기능들을 사용할 수 있는데, 우선은 없어진 창을 다시 복귀하는 방법부터 설명해 보겠습니다. 미리보기 화면이 꺼졌을 때 쉽게 화면이 보이게 하는 방법은 View - Window - Video Preview 옵션을 클릭하면 쉽게 화면이 보일겁니다. 메뉴를 잘 보면 오른쪽에 Alt+4라는 단축키가 보이죠? 자주 화면을 켜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유저들은 Alt+4 단축키를 외워 두세요...
이전에는 1280 X 720이 대세였지만 지금은 4k까지 나온 상태라서 그런지 대부분 고해상도 작업을 원하는 사람들이 많아졌네요. 그렇다고 해도 아직까지는 1920 X 1080 해상도를 사용하는 유저들이 많으니, 1920해상도를 기준으로 만들어 봤습니다. 검색하면 2분할 혹은 4분할, 화면을 자르는 글은 있을 겁니다. 화면 자르는 공식은 어디에서나 사용할 수 있는데, 잘 모르는 분들이 있어서 공식에 대해서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그전에, 화면분할 한번 사용하고 끝낼 사람들을 위해 좌표 구한 값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적혀 있는 숫자를 그대로 도입해서 좌표값에 적용하면 되니, 이해가 되지 않아도 쉽게 할 수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우선은 화면을 분리하는 방법부터 배워야겠죠? 알고 있다면 건너뛰면 되고, 몰랐다면 ..
베가스 버전에 따른 특별한 차이는 구체적으로 나온것이 없습니다. 검색을 통해 알아 본 것이고 정확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을 알고 읽어보길 바랍니다. 나무위키를 바탕으로 적은 부분이 많은데, 기타 다른 경험자들의 블로그들 글이나 기사로 나온 내용들을 종합적으로 모아서 만들었습니다. 버전 차이에 대한 시작 부분은 9부터이고 이전 버전에 대한 정보는 상당히 적어서 맨아래 추가할 수 있으면 추가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큰 차이점은 프로그램 효과를 줄 수 있는 플러그인에 대한 최적화가 진행되면서 버전에 따른 업그레이드가 되었다고 알려져 있으며, 이와 더불어 기존에 있던 메뉴 중 사라진 것과 새로 만들어진 메뉴가 있다는 부분입니다. 베가스9 - 이전버전들과 비교해 가장 많은 인터페이스 변화가 이루어졌다고 합니다. ..
프로그램을 사용하다 보면 데모 버전과 정품 버전을 따로 구분하지 못할 정도로 어렵게 만들어진 사이트들이 많이 있습니다. 더욱이 데모 버전이나 정품 버전의 다운로드 링크도 동일하게 되어 있는 곳들이 많이 있고요. 베가스 프로 사이트도 다른 외국 사이트들과 비슷하게 한글을 지원하고 있지만 다운로드 버튼만 보고 누르는 수많은 사람들 때문에 데모인지, 정품인지 확인하지 않고 설치 후 사용하는 사람들이 많이 있을 겁니다. CD형식으로 받을수도 있지만 요즘처럼 링크 형식으로 다운받아 사용하는게 더 편하니 많은 사람들은 사이트를 이용해 돈을 지불하고 라이센스 키를 받아 사용하니, 편리하긴 할거에요. 그런데 유료 프로그램을 무료라 착각하는 사람들도 존재합니다. 인터넷이 발달한지 20년이 넘었지만 여전히 영어를 잘 이해..
한글 베가스16을 기준으로 하고 있지만 메뉴에 관련된 부부은 다른 버전들도 비슷하니 참고사항이 되길 바랍니다. 이제까지 베가스 프로그램의 파일,편집,보기,삽입,도구,옵션,도움말과 관련된 메뉴들의 기능과 단축기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옵션 설정의 기본 설정 부분은 긴 내용이 될듯해서 하나씩 알아보고 있습니다. 이전 시간의 General(일반), Editing(편집), Video(비디오)편에 이어 4번째 시간으로 Display(디스플레이)편으로 시작해 보겠습니다. 이전에 해왔던 설정편은 많은 유용한 부분들이 많고 활용면에서도 검색되는 글들이 꽤 있는데 비해 디스플레이에 관련된 글들은 별로 없을 겁니다. 베가스 프로그램을 튜닝하는 정도로 사용되는 설정편이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탭과 관련된 내용은 상당히 간단하..
글의 설명 중 기본값 이라고 적어 놓은 부분은 유저마다 조금씩 다를 수 있습니다. 비디오 속성창 맨 아래쪽 Default All( 모두 기본값)을 눌렀을 때 나타나는 기본 값을 적어 놓은 것이니 자신의 기본값과 다르다고 헷갈리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Dynamic RAM Preview max - 동적 RAM 미리보기 최대(MB)(D) - 저 같은 경우 자신의 컴퓨터 사양에 설치된 램의 크기와 비교해 절반값 정도를 넣어 주고 사용중 입니다. 값이 높으면 높을수록 메모리 사용량이 증가하게 되며 수치가 100 가까이 사용해 본적도 있는데 넘어서게 되면 오류창이 뜨면서 베가스 프로그램을 다시 켜야 하는 상황이 올 수 있으니 잘 조절하길 바랍니다. Video Preview(비디오 미리보기)에 얼마나 영향을 줄것인..
한글패치나 한글번역판 형식으로 계속해서 알아보고 있는 것 같은데요. 벌써 속성의 에디트(편집)창과 관련된 내용을 적어가고 있네요. 단축키와 관려된 이야기나 메뉴에 관련된 부분들을 알아보려면 이 사이트의 페이지를 살펴 보거나 페이지내 검색을 해보세요. 검색은 오른쪽 위 검색란이 있습니다. Enable looping on events by default - 이벤트에서 루프 기본 활성화(L) - 번역판에는 이렇게 나옵니다. 루프 이벤트 스위치가 활성화 되어 있기 때문에 미디어 파일의 끝을 지나 이벤트 끝을 드래그 할 때 이벤트가 반복되는 현상을 볼 수 있다고 하네요. Preserve pitch when stretching audio events - 오디오 이벤트 늘이기 시 피치 보존(P) - 트랙을 늘리거나 ..
베가스 프로그램을 실행 후 Options(옵션) 메뉴를 보면 맨 아래쪽에 Preferences(기본 설정) 글자가 보일겁니다. 이곳에 많은 옵션들이 보이는데요. 탭형식으로 메뉴를 볼 수 있어 잘 모르고 지나치는 유저들도 있더라고요. 이 부분을 살펴 보도록 할게요. 오늘 할 부분은 General(일반) 부분과 관련된 해석과 뜻을 알아볼 겁니다. 영어를 모르는 유저들을 위해 적어 놓는 것도 있고, 해석이 되어도 정확한 의미를 모르고 지나치는 경우도 있기에 만들어 봅니다. 베가스 버전에 따라 조금씩 다른 단어가 들어가 있는 경우도 있지만, 전체적인 문장이나 뜻은 동일하니 편리한 기능들은 알아 두면 좋을 겁니다. 적어 놓은 옵션들은 베가스 16을 기준으로 삼고 있으니 이하 버전이나 상위 버전이 나온다면 없는 옵..
이번편은 Ruler,Summary,Audio(눈금자, 요약, 오디오CD)부문의 옵션에 관련된 설명을 해보도록 할께요. 일반적인 유저들이 속성편에서 가장 건들지 않고 건너뛰는 부분이 이 부분들 인데요. 실제적으로 알지 못하고 지나가도 베가스를 배우는데 지장이 없으니 건너뛰는 사람들이 많이 있습니다. 그다지 중요한 부분은 아니고 궁금한 유저들을 위해 글을 적어 봅니다. Ruler time, 눈금자 시간 형식 - 베가스의 타임라인에 보면 작게 보이는 눈금자와 시간이 보일거에요. 그 부분을 미리 설정 할 수 있게 도와주는 옵션입니다. 메뉴 - Options(옵션) 설정으로 가보면 눈금자 Ruler Format(눈금자 형식)에 있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적용시킬 수 있으며 Options(옵션)편에 설명을 해놓았으니..
전편의 속성 video편에 이어서 두번째 시간에는 오디오에 관련된 내용을 적어 보겠습니다. 영상을 다루는게 있다면 소리를 담당하는 부분도 있겠죠. 이번 시간에도 베가스16을 기준으로 되어 있으며 이하 버전에서는 없는 옵션이 존재할 수 있답니다. Master bus mode,마스터 버스 모드(M) - 기본은 스테레오로 되어 있을 겁니다. 이 옵션을 이용해 음향의 듣는 방법을 변경할 때 사용하며 서라운드로 변경시 비활성화 되어 있던 옵션을 활성화 시켜 설정할 수 있습니다. Stereo,스테레오 - 스피커가 하나인 사람도 있을테고 두개 이상의 소리듣는 장치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도 존재할텐데, 일반적인 경우에는 두개 가진 경우가 가장 많기에 선택하는 옵션입니다. 간단하게 음악을 듣는다면 여러 악기의 소리와 더불..
베가스를 실행하면 기본적인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미리 설정을 하는 곳인데요. 이곳에 미리 설정을 해 놓는다면 베가스를 실행할때 마다 작업환경을 꾸밀 필요가 없습니다. 그러니 이곳의 설정방법을 잘 따라해서 작업환경 속도를 높여 주길 바래요. 한번 설정해 놓으면 초기화 시켜도 변화지 않는 부분이기 때문에 귀찮더라도 자신의 환경에 맞게 설정해 놓는 것을 추천하고 싶네요. 현재 베가스16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니 이하 버전에서는 없는 옵션이 있을 수 있습니다. Template,템플릿(T) - 해상도를 설정하는 옵션입니다. 바탕화면의 해상도와 같이 영상에도 해상도가 있거든요. 유튜브나 기타 동영상 사이트들을 보면 해상도를 설정하는 옵션이 있는 것을 본적이 있을 겁니다. 아래 옵션을 설정해 놓으면 영상의 해상도에 따..
베가스 프로의 메뉴에 대한 설명들을 보면 도움말 옵션에 대한 내용은 대부분 빠져 있더군요. 그다지 볼일이 없어서 그런지, 활용성면에서 찾지 않게 되서 설명을 적지 않은것인지 모르겠지만, 필요한 사람들도 분명 있을 거란 생각에 적어 봅니다. 메뉴에 속한 옵션은 몇개 없고 영어를 잘 모른다해도 프로그램을 몇번 만져본 사람이라면 눈치껏 알 수 있는 부분도 많이 있기에 간단하게 설명하는 부분도 있을 겁니다. 초보자라면 반드시 알아두어야 할 메뉴인데 활용하는 사람들이 적더군요. 아마도 영어로 된 문장들 때문이라 생각합니다. 그래도 알고 있다면 도움될 겁니다. Contents and Index,목차 및 색인(C) - F1 - 어느 프로그램을 보든 대부분 각 프로그램의 설명 혹은 색인을 살펴보는데 F1 단축키를 선호..